생활종합 각종 유용 팁

아파트 취득세 및 지방교육세 등 간편하게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경제마케터 2017. 6. 1. 11:4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에 관련한 부분을 통합적으로 알아볼건데요


우리 나라 같은 경우에는 아파트가 정말 많은데요


그만큼 아파트 거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아파트를 구입할 때도 세금이 부과가 되는데요.



아파트 가격은 알아도 아파트 세금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아파트에 책정된 세금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손쉽게 세금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유용하게 활용하셔서 산출하시기를 바랍니다.



먼저 아파트 세금이라는 것은 아파트를 취득하게 되었을 때 부과되는 취등록세를 일컫는데요


아파트 취등록세를 계산하기 위해서 관련된 계산기가 있는 곳을 먼저 찾습니다.


그것이 바로 부동산정보센터인데요. 검색에다가 부동산정보센터라고 검색하셔도 됩니다.


요즘에는 중개보수 계산하는 것도 사이트마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게시가 되어 있어서 무척 편리한데요


물건유형과 거래유형 거래가액에 따라서 중개보수의 계산이 산출이 됩니다.



우리는 오늘 알아볼 것은 취등록세 계산이기 때문에


먼저 부동산 114라는 부동산포털을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홈페이지에 여러가지 카테고리의 메뉴들이 나오는데요


거기서 오른쪽 하단부분에 보시면 부동산계산기라는 것이 보입니다.


이것을 클릭하게 되면 부동산의 각종 계산을 할 수 있는 메뉴들이 나오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원하는 부동산 취득세에 대해서


메뉴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계산기로 바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러면 보시는 것과 같이 아파트를 선택할 수가 있는데요.


예를들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6가에 있는 동양 93m2 를 알아보게 되면


해당 부분을 눌러서 클릭해서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면 취득가액과 전용면적이 자동으로 입력이 되는데요


본인의 아파트 정보에 대해서 입력을 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되는


계산 산출값이 나오게 됩니다.



취득가액의 경우에는 17년도 5월 조사 기준 시세가라는 점은 참조를 하시면 될 것 같고요


실거래가액이 기준시가에 미달할 때는 기준시가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도 참조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주택 취득세에 대한 요율표는 아래에 잘 설명이 되어 있는데요


매매 교환에 따른 주택수 및 취득가액에 따라서 취득세 요율도 보실 수가 있고


신축 건물과 상속과 증여에 관해서도 주택, 무주택자 유주택자 등으로 요율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3억 이하에 85m2 이하일 경우에는 취득세가 2.0% 이고 지방교육세가 0.2% 이고 농어촌특별세는


비과세 이네요.



이처럼 손쉽게 확인함으로써 계산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아파트 취득세에 대해서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유용하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아는만큼 보인다고, 대략적인 설계도가 있어야


거래도 원활하고 활발하게 잘 하실 수 있으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행복하고 건승하는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