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카드 사양 및 종류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셀프브랜딩디렉터 김동환입니다.
오늘은 그래픽카드에 대한 통합적인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그래픽카드는 컴퓨에 있어서 화면을 송수신하는 기기인데요
그래픽카드의 성능에 따라서 출력되는 그래픽의 질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게임이나 그래픽 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가 처리하는 속도도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그래픽카드에 대해서 잘 아는 것도 중요하고
내 컴퓨터는 현재 어떤 그래픽 수준에 있으며
어떤 그래픽 카드를 쓰는지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도움이 되드리고자
간단하게 컴퓨터 윈도우 내에서 그래픽 카드의 사양과 종류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아래에서 그래픽 카드 손쉽게 확인하는 방법을 따라해보시죠.
먼저 윈도우 바탕화면에 커서를 대고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메뉴가 보이실겁니다.
새폴더부터 보기 정렬기준 새로구침 NVIDIA제어판 등 여러가지가 보이실텐데요
일단 맨 밑에 개인설정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바탕화면의 개인설정을 설정하실 수 있는 창이 뜨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이미 송출되고 있는 그래픽 화면에 대해서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자 하는 사항을 알려면 디스플레이 홈으로 가야합니다.
디스플레이홈으로 가기전에 아까 비슷한 메뉴를 보셨을텐데요
화면해상도라는 부분도 눌러보면 손쉽게 설정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화면 해상도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그래픽카드의 수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형태와 해상도 방향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상도도 그래픽 카드에 따라 지원 가능한 사이즈가 다 있고요
여기서 고급설정이 우측 하단 부분에 보이실겁니다.
그것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우리가 확인하고자 하는 그래픽카드를 손쉽게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현재 제가 쓰는 그래픽카다는 NVIDIA GEFORCE GT 530 이라는 사양이고요
그래픽 카드 성능을 보면 그래픽메모리가 3830메가바이트
전용비디오메모리가 1024메가바이트
공유시스템메모리가 2806메가바이트 입니다.
그리고 드라이버 종류를 확인하셨으면 그 바로 옆에 속성 버튼이 보이실겁니다.
그 속성버튼을 눌러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그러면 거기서 드라이버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손쉽게 드라이버에 대한 최신 파일로 업데이트도 손쉽게 찾아볼 수가 있습니다.
드라이버정보나 드라이버 롤벡 제거 사용안하는 등의 서비스도
선택적으로 받아보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에 말씀드린 제어판 홈에서의 찾아들어가는 방법인데요
제어판홈을 먼저 눌러줍니다.
그 제어판 홈에서 다양한 카테고리가 나오는데요
그중에 하드웨어 및 소리 를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장치와 관련된 세부 메뉴들이 나오게 됩니다.
거기서 장치관리자를 눌러주면 비디오카드 정보와 사양을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
저는 지포스를 쓰기 때문에 NVIDIA 제어판이 따로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래픽 카드 내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들도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다양하게 바탕화면 크기 조정이나 다중 디스플레이 비디오 컬러 및
비디오 이미지 등을 설정 및 조정할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장치관리자를 들어오면 여러가지 장치에 대한 메뉴 상위 카테고리를 볼수가 있는데요
그중에서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세부 내역을 확이할 수가 있습니다.
저 메뉴를 누르게 되면 앞전에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었던 그래픽정보와 업데이트 정보 등
동일하게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오늘도 이렇게 통합적으로 그래픽카드 성능과 사양 등을 살펴보았는데요
항상 건승하는 하루 되십시오.
'생활종합 각종 유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년 최신 실업급여 계산 금액 확인하기 방법입니다. (0) | 2017.03.09 |
---|---|
세금 부과시 상속제 면제 및 계산 세율 관련 사항 알아볼게요 (0) | 2017.03.09 |
홍콩으로의 급여행 후기와 사진감상 하세요 (0) | 2017.03.07 |
경동화물 가까운 영업소 지점 찾기 및 운임 살펴볼게요. (0) | 2017.03.06 |
맥심드파리 국내런칭과 통합적인 시장 살펴볼게요 (0) | 201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