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트랜잭션은 무슨말일까요?
데이터통신 시스템에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기본적인 정보를 기록한 기본파일에 대해서
그 내용에 추가, 삭제 및 갱신을 가져오도록 하는 행위(거래)를 트랜잭션이라 합니다.
비트코인 거래를 트랜잭션으로 하는데, 그 실제적인 예시에 맞춰서 다시 설명해보자면
비트코인을 누군가에게 보낼 때 노드가 유효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합니다.
그리고 검사가 완료되면 연결되어 있는 블럭중 하나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 블럭이 바로 '블록체인'인 것입니다. 블록체인은 굉장히 익숙한 말이지요?
그래서 블록체인 거래를 트랜잭션이라고 해도 무방한데요
결국 트랜잭션은 누군가가 일방적으로 취소, 삭제를 할 수 없습니다.
트랜잭션을 취소하거나 삭제, 수정을 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안에 들어있는 것 하나만 만지면 좋겠지만
그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블록의 연산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해야하기 때문이랍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 지갑, 즉 Wallet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고 계시나요?
사실 여러분이 소지하고 있는 Wallet에는 비트코인이 들어있는 것이 아닙니다.
해당 비트코인의 고유 주소를 소유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 맞는 말인데요
34개의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비트코인 주소는 퍼블릭키(Public key)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프라이빗키는 여러분의 개인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데요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를 가지고 트랜잭션을 위해 유효성검사를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유효성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말해서
'A가 비트코인을 X만큼 소유하고 있고, A를 제외한 그 누구에게도 전송하지 않은 상태'
를 말하는 것으로 서명과 퍼블릭키를 이용하여 비트코인을 전송하게 되며
타인은 여러분의 프라이빗키를 알 수 없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프라이빗키는 공개되면 안되는 정보이지만
여러분이 거래하는 모든 장부는 공개됩니다.
'경제공부 시장종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비드(Blockbid)거래소 베타 출시, 비트코인 리플 신규 상장 (0) | 2018.04.14 |
---|---|
ICO vs IPO vs Crowdfunding 뜻, 비교점 (0) | 2018.04.13 |
GS건설 역대급 1분기 실적, 그 원인은? (0) | 2018.04.09 |
리또속, 리항호, 리플 코인이 망해가는 이유 (0) | 2018.04.09 |
4월 호재정리, 리플 상장 대박호재? (0) | 2018.04.09 |